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27257.jpg
KCI등재 학술저널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 간의 관계

한·중 청소년 비교

  • 1,913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간의 상호 관련성과 국가(한국, 중국)에 따른 이들 변인들의 차이 그리고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가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와 안녕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분석 대상은 한국 중학생 474명, 중국 중학생 516명, 총 990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와 한·중 청소년들의 기본심리욕구 그리고 안녕감은 상호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학생들이 지각하는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 기본심리욕구 및 안녕감은 중국 학생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데 반해,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과 중국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기본심리욕구를 거쳐 안녕감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 학생들이 지각한 교사의 자율성 지지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에, 중국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교사의 자율성 지지에 비해 그들의 기본심리욕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학생들의 기본심리욕구 증진을 통해 이들의 안녕감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부모와 교사의 자율성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보다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utonomy supports (AS), adolesce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BPN), and well-being in Korea and China. The final samples consisted of 474 Korean and 516 Chinese students in middle school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S, BPN and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econdly, Korean adolescents had higher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S, BPN and well-being than Chinese adolescents. Thirdly,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S had direct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well-being, whereas teachers’ AS did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nfluences on them. Furthermore, Korean and Chinese adolescents’ perceived parents’ and teachers’ AS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well-being through BPN. For Korean adolescents, the influences of perceived teachers’ AS on BPN were higher than those of parents’ AS. For Chines adolescents, the influences of parents’ AS on BPN were higher than those of teachers’ AS. Implications of study were discussed in depth.

요약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로딩중